1. “여행 중 선글라스 분실은 보상 안 되고, 파손 카메라는 된다”
여행자보험의 ‘휴대품손해 특약’은 분실된 휴대품에 대해서는 보상을 제외하고, 파손된 경우에만 수리비(자기부담금 제외)를 지급합니다. 또한 실손의료보험 가입자는 여행 중 발생한 의료비에 대해 중복 보상을 받을 수 없으며, 항공기 지연비용 특약은 실제 지연으로 인한 추가 비용만 보장됩니다. 이런 세부 약관을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귀중품 분실 시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될 수 있습니다.
2. “MG손보 사태, ‘감액이전’ 안 논의…2차 국민청원 등장”
금융당국은 MG손해보험 가입자의 보장액을 줄이는 ‘감액이전’ 방안은 법적 근거 부족으로 논의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대신 대형 손보사 5곳에 계약 이전, 매각·청산 방안을 검토 중이며, 가입자들은 2차 국민청원을 통해 신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가입자 보호를 최우선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3. “해외 망신 막았다”…한전·한수원, 국제중재 아닌 국내중재 추진
UAE 바라카 원전 추가 공사비 분쟁과 관련해 한전·한수원은 국제중재 대신 국내중재로 갈등 해결 방안을 가닥 잡았습니다. 한수원은 추가 증빙자료를 제출하며 협상을 이어가고 있고, 한전은 일부 공사비를 먼저 지급하는 가지급 방안을 내부 검토 중입니다. 국제무대에서의 명예 실추를 최소화하고, 상대방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전략입니다.
4. “반년 만에 GDP 220조원 날아갔다”…우리 경제, 급격히 악화
IMF는 올해 한국의 GDP 전망치를 1조9471억 달러에서 1조7900억 달러로 1570억 달러(약 224조 원)나 하향 조정했습니다. 소비·투자·수출이 동반 위축됐으며, 정치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까지 겹쳐 만성 저성장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은 단기 부양책과 구조 개혁을 통해 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5. “통장에서 돈 좀 빼봐”…4월 예금 23조원 이탈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MMDA에서 4월 한 달간 총 22조6473억 원이 빠져나갔습니다. 반면 신용대출은 최대 폭 증가를 기록했고, 대기업 대출이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의 4배에 달하며 ‘대기업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시중자금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6. 이재명 뒤집힌 판결…민주당 선거비용 434억 반환 위기
대법원이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 판결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하면서, 당선 무효 시 434억 원의 선거비용 반환 리스크가 현실화됐습니다. 민주당은 법 개정과 중앙당사 매각 등 비상 대응책을 논의 중이며, 당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정치권 전반에 책임 있는 재정 운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7. 수세미 하나로 매출 2조원…‘스크럽대디’ 한국 상륙 열풍
미국 ‘샤크 탱크’ 출신 수세미 브랜드 **‘스크럽대디’**가 더현대서울 팝업에서 4일간 3만 명을 유치하며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습니다. 특허 기술인 ‘플렉스 텍스쳐’로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제공해 20·30대의 ‘취향 소비’를 이끌었고, 단기간에 매출 2조 원 돌파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8. 미 의회 ‘조선업 부활법’ 발의…韓 조선사에 수십조원 기회
미국 의회가 **‘조선업 부활법’**을 발의해 2035년까지 미국산 선박 250척을 확보하도록 하고, 중국산 제외 선박을 한국·일본산으로 인정토록 했습니다. 이에 따라 HD한국조선·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들에 수십조 원 규모의 수주 기회가 열릴 전망입니다. 국내 조선업계는 생산 능력 확대와 공급망 강화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9. 美 과학인재 빼가는 中…하버드 석학도 데려가
중국은 해외 이공계 인재 유치를 위해 고액 연봉·주택·의료 지원 등의 파격 조건을 제시하며, 하버드·프린스턴 출신 석학들까지 잇따라 영입하고 있습니다. ‘천인계획’을 통해 정착 보조금 2억 원, 연구비 최대 9억7000만 원을 지원해 기술 굴기를 가속화하고 있어, 미국의 기술 패권이 위태롭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10. “월급 300 줘도 공무원 안 해요”…돌아선 Z세대 공시생
Z세대 구직자 2074명 중 10%만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이며, 74%는 공무원을 직업 선택지에서 배제했습니다. ‘월급 300만 원’이 보장돼도 53%가 사기업을 선호했으며, ‘낮은 성장 가능성’과 ‘경직된 조직문화’ 등이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공공 부문의 과감한 연봉 인상 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11. “다 바꾸겠다던 백종원 더본코리아, 가맹점에 50억 푼다”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는 가맹점 로열티 면제(3개월), 가정의달 통합 프로모션, 핵심 식자재 특별 할인 등을 포함한 50억 원 규모 상생 지원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법률 위반·위생 논란 이후 신뢰 회복을 위한 조직 혁신과 함께, 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할 계획입니다.
'매일신문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5월 08일 주요뉴스요약 (19) | 2025.05.08 |
---|---|
2025년05월07일 주요뉴스요약 (33) | 2025.05.07 |
2025년 05월 02일 주요뉴스요약 (13) | 2025.05.02 |
2025년 05월 01일 주요뉴스요약 (14) | 2025.05.01 |
2025년 04월 30일 주요뉴스요약 (17) | 2025.04.30 |